본문 바로 가기
화면 점점 크게
화면 점점 작게
화면 초기화
정보공개
공공데이터
전자메일 : 일반/공무원
DMZ비무장지대
검색버튼
통합검색
주메뉴
닫힘
DMZ
공간으로 보는 DMZ
시간으로 보는 DMZ
DMZ의 자연 환경
DMZ의 인문 환경
익사이팅 DMZ
주요관광명소
주요관광명소
- 판문점
- 도라산역
- 승전전망대
- 제3땅굴/도라산역/도라전망대/통일촌
- 통일촌 직판장
캠프그리브스
평화 누리길
DMZ 자전거투어
경기도 DMZ
새소식
언론보도
DMZ포럼
자주하는 질문
DMZ 아카이브
갤러리
동영상
자료실
DMZ BI
모바일버튼
통합 검색
Home
>
임진강탐사
>
생태계 구성요소
facebook
twitter
google
생태계 구성요소
DMZ 생태
생태계현황
- 생태계환경
- DMZ 생태계 구역구분
- 생태계 구역별 구성현황
- 생태계 파괴 유형
- 생태계 영향 저감대책
생태계지도
- 동해안지역
- 중동부 산악지역
- 중서부 내륙지역
- 서부해안 및 도서지역
생태계구성
- 생태계복원 및 관리
- 곤충
- 조류
- 포유류
- 양서/파충류
- 어류
DMZ 야생화
- 봄에 피는 꽃
- 여름에 피는 꽃
- 가을에 피는 꽃
DMZ 철새
- 겨울철새
- 여름철새
- 텃새
- 나그네새
임진강 탐사
- 임진강 지리적 환경
- 임진강 일반현황
- 임진강 생태탐방로
- 임진강 습지
- 임진강 오염원
- 임진강 철새
- 임진강 꽃과 수풀
- 임진강 물속생물
- 생태계 구성요소
제목
잿빛개구리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년 2월 27일
파일첨부
첨부파일없음
<현황 및 생태적 특징> 유라시아 대륙의 중부와 북미 대륙의 중부에까지 번식하나 북부 지역의 번식 집단은 겨울에는 남하 이동하여 월동한다. 평지의 개활지, 초습지, 구릉지, 하천 부지의 초지, 농경지 등 전역에 걸쳐 월동하는 드물지 않은 겨울새이다. 몸길이는 43-51㎝이고, 수컷은 배면은 회색, 하면은 백색이고 허리는 눈에 띄는 백색이다. 암컷과 유조의 배면은 암갈색이며 하면은 황갈색에 종반이 있고 허리는 백색이다. 단독으로 생활할 때가 많으며 꼬리를 벌리고 날개를 훨훨 펄럭이며 긴 다리를 아래로 뻗고 하늘의 한 곳에 정지한 채 먹이를 찾을 수 도 있다. 그러나 대개는 갈대밭이나 초지위를 직선으로 저공 비행하며 들쥐나 작은 새를 발견하면 날쌔게 낚아채어 땅 위나 둑에 내려앉아 먹는다. 갈대밭에서 마른 갈대로 둥지를 틀고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서식처 확보를 위한 배려사항> 초습지나 구릉지 등에 갈대밭이 폎쳐져 있는 곳이 최적의 월동지이므로 그러한 서식처의 보존이 요구된다
다음글
독수리
이전글
말똥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