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일원의 기존 계획과 구상 2017. 3. 30.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박은진 ’17 경기DMZ포럼 1차

2미래 DMZ의 위상 (통일 이후) • 생태·경관 보호지역 / 역사문화 관광지역 • 교통 통과지역 / 지역개발 요구지역 ? 통일과정에서 DMZ의 역할 • 통일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 유지 현재 DMZ의 상황 및 역할 • 군사적 충돌 완충지역 / 군사안보 최우선지역 • 생태·경관 우수지역 / 특이 생태지역 • 접경 규제지역 / 낙후지역 단계적으로, 구체적으로 무엇이 가능한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DMZ의 현재와 미래 / 통일과정 변화

3정전 ~ 2012. 12 까지 DMZ 관련조사∙연구자료분석 (학술검색엔진 ‘비무장지대’ ‘민통선’ ‘접경지역’ ‘DMZ’ 키워드 검색) 0 5 10 15 20 25 30 35 40 ~1987 1988-1992 1993-1997 1998-2002 2003-2007 2008-2012 건/yr 환경 경제,지역개발 관광 교류,협력 안보,통일 인문,역사 법제도 154 199 총21 11 61 178 총 624건 (~2012년) 환경 30.0% 경제지역개발 20.4%관광 10.9% 교류협력 13.3% 안보통일 11.5% 인문역사 9.5% 법제도 4.5%

 가장 건수가 많은 연구주제는 환경 4  초기에는 환경, 안보 · 통일, 인문 · 역사에 초점 • 정전 이후 초기, 분단아픔과 전쟁 치유 주제의 문학작품과 안보상황 강조 글들이 정기간행물에 많이 포함 • 그 이후에도 비율은 낮아졌지만 분단문학은 현재까지 지속 • 90년 이전에는 ‘북괴’, ‘불법요새화’, ‘남침땅굴’ 등 적대적 단어 등장, 90년 이후 ‘평화적 이용’이 지속적으로 등장  90년대 중반 이후 경제·지역개발, 관광, 교류·협력 분야 증가 및 주제 다양화 • 90년대 중반 이후부터 2010년까지는 남북화해 분위기로 개발, 교류협력 분야가 증가 • 최근 남북경색으로 교류협력 분야 감소, 안보통일 분야 증가 • 90년 이전 45.8%를 차지하던 환경은 23.1%로 감소 190(29.9%) 133(20.9%) 86(13.5%) 74(11.7%) 69(10.6%) 59(9.3%) 26(4.1%)  기존 조사 · 연구 현황 분석 (박은진 2013)

5DMZ 세계생태평화공원 그린데탕트 임진강 평화문화권 특정지역 DMZ 통일부 환경부 문체부 국토부 남북협력 의제지역개발 의제 DMZ 생물권보전지역 DMZ 생태평화공원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6 주요 쟁점 및 대응 1. 민통선지역 생태계 훼손 및 생물다양성 감소 위협 ▶ DMZ 내부 및 민통선지역 생태계조사 추진(2008~ ) • DMZ 내부 조사 – ’08년 서부, ’09년 중부 • 민통선 이북지역 조사 – ’12년 서부, ’13년 중부, ’14년 동부 생태평가지도 작성 및 우수생태지역 정밀조사 추진 필요 (환경영향평가 및 보호지역 지정 기초 마련) ▶ 생물다양성관리계약, 외래생물 퇴치사업 등 매년 실시

7 주요 쟁점 및 대응 2. 보호지역 및 공간관리 법제도 미흡 ▶ 자연환경보전법 :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로부터 2년간 “자연유보지역” 한시 적용 특별법 또는 현재 법 체계 하의 관리방안 다양하게 모색 ▶ 민북지역 산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 임야에 한정한 적용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 백두대간 지역만으로 제한 토지매수, 생태계서비스지불제등 제도 병행및 국토공간계획에반영 ▶ 국립공원 지정 추진 (2011~) : 경기권 DMZ내부, 강원권 DMZ 및 인접지역 생물권보전지역, 지질공원, 세계농업유산, 람사르습지 등 지정

8 주요 쟁점 및 대응 3. 지역의 보전 vs. 개발 갈등 및 지속가능발전 인식 미흡 ▶ DMZ 생태평화공원 조성(철원) 추진 (2008~2015, 65억원) • 국정과제 채택(2008)으로 기본계획(2010) 및 기본설계(2011) 마련 • 십자탑 탐방로(13km, 2014), 용양보 탐방로(9km, 2015) 완공 생태탐방로 운영활성화 및 장기발전방안 필요 ▶ DMZ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 (2001~) • 김대중 정부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 시작(2001) • 이명박 정부 국정과제 채택(2008), 관계기관 합동계획 수립(2011) • 신청서 제출(2011) 및 유보 결정(2012) • 생물권보전지역 기반구축을 위한 주민교육 홍보사업 : 7개 시군 (2013~ ) ‘소규모 시범 모델지역 추진 성공 후 확대’ 전략 전환 필요 (1~2개 기초지자체, DMZ 제외한 인접지역 대상)

1997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보전과 지역사회 활성화 동시달성을 위한 조사연구” 2000 UNDP/서울대학교, “경기북부지역에서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조사연구” 2001. 1 김대중 대통령, 접경생물권보전지역(TBR) 지정 추진 지시 2001. 4 한국 MAB위원장, 북한 MAB위원장에 TBR 지정 제안 서신 전달 2002 환경부(KEI),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남북공동 TBR 추진 검토 2002 환경부, 생태복원 국제심포지엄 (서울), DMZ포럼(뉴욕) 등을 통해 BR공론화 2004. 1 환경부, “DMZ일원 자연생태계 보전방안” 국무회의 보고 및 관계부처 협의 2004. 9 환경부, 유네스코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계획 수립 – 남북공동 TBR 지정계획 2005. 8 환경부,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보전대책” 수립 – 남북공동 TBR 지정 장기 추진 2006. 유네스코 MAB국제조정이사회에서 북측에 공동 BR지정 다시 제안, 북한 무반응 2008. 9 경기도, DMZ평화생태공원과 민통선지역 BR 지정 추진계획 수립 2010. 9 경기도(GRI), 경기권 DMZ BR 용도구역 안 및 지정 관리방안 마련 2011. 3 관계기관합동, DMZ일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계획 수립 2011. 6 강원도(RIG), 강원권 DMZ BR 용도구역 안 및 관리방안 마련 2011. 9 환경부/산림청/문화재청/경기도/강원도, DMZ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신청서 작성 및 제출 2012. 7 유네스코 MAB국제조정이사회 DMZ BR 유보 결정 남북 공동 TBR DMZ 위상변화, 남북관계 중요 남한 우선 BR 지역발전모델, 내부적 협력 중요 9 DMZ 생물권보전지역과 지역발전 - 추진 경위

DMZ생물권보전지역 2,979km2 (핵심 861.6km2, 완충 692.6km2, 전이 1,425.3km2) 구역 면적(km2) 인구 위치 합계 2,979 246,475 경기도(파주,연천), 강원도(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핵심지역 862 - DMZ + 법적보호지역 완충지역 692 2,281 CCZ + 핵심 주변지역 전이지역 1,425 244,194 CCZ와 접하는 접경지역 < ’2011 유네스코 제출 신청서의 용도구역 안 > 9

11 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지역 자원과 잠재력을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 방안 강구 - 자원, 잠재력, 특성 등에 따라 5개 권역 구분 : 핵심-완충Ⅰ, 핵심-완충Ⅱ, 협력Ⅰ, 협력Ⅱ, 협력Ⅲ 지속가능발전 공간전략 및 과제

K ey m ap 12 1. 핵심-완충Ⅰ 행정구역 및 위치 • 파주시에 해당하는 DMZ와 민통선지역 • 파주시 군내면, 진동면 • 서울에서부터 자유로와 1번국도를 통해 북한 개성으로 연결되는 남북연결축 상에 위치 주요자원 • 판문점, 제3땅굴, 도라산역, 도라산전망대, 대성동마을 등 냉전사 현장 • 통일촌, 해마루촌, 허준선생묘, 덕진산성 • 두루미, 재두루미, 흰꼬리수리 등 중요 생물종, 초평도, 장단반도, 논습지 및 둠벙, 등 전통적 농촌 자연경관 특성 및 잠재력 • 가장 대표적인 냉전역사 현장이고 세계적 관심대상 지역으로 출입 제한되지만 많은 DMZ관광객 방문 • 3개 민통선마을과 지역주민 생활도 독특한 관심대상 • 생물다양성 풍부하고 중요한 멸종위기종과 희귀종 서식 • 남북협력 및 발전축 상에 위치하여 남북경협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수요 강한 지역 • DMZ의 역사, 생태, 사회경제 측면 모두 가장 많은 자원과 잠재력 을 가진 지역으로 활용의 수요도 강하고 다양 전략 및 사업방향 • 역사, 생태, 사회경제의 독특한 특성과 자원들이 복합적인 가치를 발휘할 수 있도록 통합하고 조화 • 우선 민통선지역에 대해 비오톱평가 및 지도작성을 통해 개발과 보전의 공간전략 마련 • 근대역사자원과 생태자원의 보호 방안 마련 • 민통선마을의 지속가능발전 전략마련 및 생태관광 활성화 11

13 2. 핵심-완충 Ⅱ 행정구역 및 위치 • 연천군에 해당하는 DMZ와 민통선지역 • 연천군 장남면, 백학면, 왕징면, 중면, 신서면 • 북한에서부터 흘러내려오는 임진강과 지류 하천들이 관통 주요자원 • 태풍전망대, 열쇠전망대, 상승OP, 승전OP, 제1땅굴, 무장공비침 투로 등 냉전역사 자원과 경순왕릉 위치 • 사행하며 흐르는 임진강의 풍광, 임진강 여울과 주변 논 및 율무 밭에서 두루미 월동 민통선마을로 횡산리 포함 특성 및 잠재력 • 신라경순왕릉, 무장공비침투로, 상승OP, 제1땅굴이 분포하는 좌 하단 지역과 임진강 두루미월동지와 풍전망대, 횡산리가 있는 중 간지역, 열쇠전망대 있는 우상단 지역의 3개 지역으로 구분 • 횡산리가 유일한 민통선마을로 남아있고, 이 일대에 태풍전망대, 임진강평화습지원, 두루미월동지가 있어 가장 높은 관심지역 • 파주쪽의 핵심-완충Ⅰ지역에 비해 상대적 관심이 떨어지고 관광 객수도 적은 편 • 농경지가 상대적으로 적고 산악지형이 많으나 산림이 빈약하여 산림복원 필요 전략 및 사업방향 • 주민이 거주하고 두루미 월동지인 횡산리 및 태풍전망대 일대를 우선적으로 전략사업 대상지로 선정, 집중적 관심과 참여 유도 • 핵심-완충Ⅰ과 마찬가지로 비오톱평가 및 지도화 • 북한과 연결되는 임진강 및 지류하천 관리 및 하천생태계 보호 • ‘평화의 숲’조성을 통한 산림복원 모색 K ey m ap

14 3. 전이(협력)Ⅰ 행정구역 및 위치 • 가장 서측 전이지역과 한강하구습지보호지역 • 파주시 교하동, 운정동, 탄현면, 문산읍 • 한강하구 및 임진강하구에 연접한 지역 주요자원 • 임진각, 평화누리, 오두산통일전망대, 통일동산 등 평화상징 및 근 대역사자원 • 성동습지, 공릉천하구, 산남습지, 문산습지 등 한강과 임진강 하구 습지, 멸종위기종 및 희귀종 철새의 이동과 서식 • 장릉, 황희선생묘, 반구정 등 역사문화자원과 헤이리예술마을, 파 주출판문화단지 등 문화예술지역 특성 및 잠재력 • 최대 철새월동지인 한강하구와 임진강하구를 끼고 있으나 자유로 와 철책으로 접근 불가 • 북한과 DMZ에 근접하면서도 핵심-완충Ⅰ과 달리 쉽고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여 관광객 및 방문객 최대 • 자유로를 따라 북쪽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신도시와 산업단지가 다 수 분포하고, 교하동, 운정동, 문산읍 등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 포함 • 파주출판문화단지, 헤이리, 통일동산, 평화누리 등이 있어 문화예 술 컨텐츠와 프로그램도 다양 전략 및 사업방향 • 한강하구와 임진강하구 철새보호 및 조사모니터링 강화 • 임진각 등 주요 관광지에 집중된 관광을 지역전체로 확산시킬 수 있는 연계 프로그램 필요 • 도시지역 학교를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생물권보전지역 특화 환경교육 프로그램 강화 • 출판단지와 헤이리 등 문화예술 컨텐츠 및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생태문화 이미지 및 컨텐츠 발굴 K ey m ap

Gyeonggi Research Institute 4. 전략 및 과제 – 공간적 전략 Ⅲ DMZ생물권보전지역 발전 기본구상 15 4. 전이(협력) Ⅱ 행정구역 및 위치 • 파주와 연천 경계부를 포함하는 전이지역 • 파주시 파평면, 적성면, 연천군 장남면, 백학면, 미산면, 전곡읍 • 임진강이 관통하여 임진강과 접하는 지역으로 일부는 과거 민통선지역이었으나 현재 민통선 이남지역이 됨 주요자원 • 전곡리선사유적지, 호루고루성지, 숭의전, 칠중성, 당포성, 은대리성 등 역사유적지 • 임진강의 하천생태, 문화(나루터), 경관(주상절리) 자원과 은대리 물거미서식지(천연기념물이고 독특한 생태학습자원) • 초원마을, 한배미마을, 38선마을, 새둥지마을 백학정보화마을, 고려마을, 산머루마을, 율무꽃피는마을 등 체험마을 특성 및 잠재력 • 임진강과 감악산을 끼고 체험마을이 다수 분포하며, 비교적 교통이 편리하여 경기북부의 청정환경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 • 체험마을 주변에 안보, 생태, 역사문화유적지가 고루 분포하여 체류형의 생태문화관광 이 가능한 지역 전략 및 사업방향 • 전곡리선사유적지와 임진강 주변 역사유적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역사문화 컨텐츠 및 프로그램 강화 • 임진강 생태경관 자원을 부각시킨 체험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개발하여 체험마을과 연계하고 네트워킹을 통한 이미지 강화 • 체험마을과 연계하여 지역특산물과 생태관광 이미지 구축 및 활성화 K ey m ap

16 5. 전이(협력) Ⅲ 행정구역 및 위치 • 철원과 인접하는 연천군의 전이지역 • 연천군 왕징면, 군남면, 연천읍, 중면, 신서면 • 임진강과 한탄강, 경원선 철도가 관통하는 지역 주요자원 • 임진강과 한탄강의 생태, 지질경관(주상절리), 문화(나루터)자원 • 임진강 주변 장못, 조개못 등 습지, 재인폭포 등 • 호랑이배꼽마을 나룻배마을, 허브빌리지, 옥계마을, 로하스파크, 고대산 산촌체험마을 등 체험마을 특성 및 잠재력 •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생태, 경관, 지질, 문화자원이 풍부 한 한탄강과 임진강을 끼고 있어 자연관광지역으로 잠재력 보유 • 구석기시대부터 근대 냉전사까지 임진강과 한탄강이 가지는 역 사적 다양성과 의미도 큰 지역 • 임진강과 한탄강의 역사, 생태, 지질, 문화를 지역주민의 경제활 동과 접목시킬 경우 생물권보전지역으로서 발전가능성 큼 • 지질공원 인증 추진과도 연계하여 시너지 창출 가능 전략 및 사업방향 • 임진강과 한탄강의 역사, 문화, 지질, 생태 자원의 가치발굴과 활 용 컨텐츠 강화 • 지역 농산물과 가공품 등 지역산물의 연계 특화 • 지질공원과 생물권보전지역 연계성 및 시너지 강화 • 체험마을의 연계 컨텐츠 전문화 K ey m ap

17 지속가능발전 부문별 과제 7개 부문의 통합적이고 참여적 추진 실행계획 경제 관광 에너지 교육보전 및 연구 참여 및 홍보 제도 및 협력 DMZ일원의 지속가능발전 •지속가능경제 •지역순환경제, 6차 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협력업체와 브랜드인증 사업 활성화 •법제도적 위상 및 지원근거 마련 •국내외, 남북한 교류 및 협력 •서식처 정밀조사 및 보호지역 설정 •주민참여형 서식처ㆍ경관 보전관리 •자원 현황 변화의 주기적인 조사 및 DB 구축 •지속가능발전교육 모델지역 육성 •“DMZ 생물권협력학교” •“DMZ 주민대학” •상향식 주민참여 의사결정 원칙 및 방법론 적용 •정보제공 및 투명성 확보 •지속가능관광 •지역 자원의 보호 활용 •마을만들기 사업 및 탐방로 조성사업 •지속가능에너지/에너지자립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일자리 창출 및 교육프로그램

18 현황 및 과제  파주시 시가지역을 제외하고 인구가 적고 고령화 추세, 지역에 대한 주민의 부정적 인식이 큰 편  외지인 토지소유비율 높고 지역순환 경제 체제 미약  지역생산품에 대한 브랜드 전략은 1차 농산물 품목에 국한되고 차별화전략 미약, 친환경 유기농 상품 적고 인지도 낮은 한계 관리 목표 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과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전문적 지원  지역 생산자와 경제인들 간의 비즈니스 협력 체계 형성 및 일자리 창출  지역 특산물의 생산, 가공, 서비스 등 전 과정이 복합적으로 연계되는 6차 산업과 친환경 비즈니스 중점 육성 지속가능 경제 DMZ 생물권보전지역 브랜드 인증마크 지역농산물 생산 (1차 산업) 특산품 제조ㆍ가공 (2차 산업) 직판, 유통, 관광, 교류, 서비스업(음식, 숙박) (3차 산업) 친환경적, 생태적, 순환적 생산 방식 지역특산품 특화 및 다양화 로컬푸드 작목반, 협동조합, 마을기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일반업체 등 DMZ 생물권보전지역 협력업체

19 ‘DMZ BR 협력업체’ 후보 관광업 판매업 특산물 가공업 서비스 업 숙박업 음식업 ‘DMZ BR 협력업체 협회’ 설립 및 운영 교육 및 워크숍 가입기준 및 운영 지침 마련 DMZ BR 브랜드인증 사업계획 수립 DMZ BR 브랜드인증 기준 및 운영지침 마련 인증마크 운영 및 홍보 전략과제 1 : 생물권보전지역 비즈니스 활성화 및 네트워크 구축 전략과제 2 : DMZ 생물권보전지역 브랜드 인증마크 사업 추진 협력업체가 주체로서 참여 전략 과제 지속가능 경제

 BR 지역경제사업의 세 축 - 고유한 지역 농축산 특산물(예: 뢴 양, 뢴 사과, 프랑크 소) - 숙식 서비스업, - 상품과 서비스의 질 관리, 홍보하는 라벨링 사업  2009년 12월 기준, 229개 업체가 뢴의 인증마크 사용 20 1. 독일 생물권보전지역의 성공적 지역마케팅  BR 포함 독일 전역 500여 개소 이상에서 협력업체 및 브랜드 인증마크 활용한 지역마케팅 사업 활발  지역마케팅 성공요인 4가지 2. 독일 뢴 생물권보전지역 협력업체 사업 3. 오스트리아 그로세즈발저탈 생물권공원 협력업체 사업  지역 생산품에 대한 자체 상표 개발, BR 로고 부착하여 지속가능 지역발전에 기여  “그로세즈발저탈 비즈니스 협회” (2006) 설립, 35개 업체 회원 4. 독일 샬제호수 생물권보전지역의 “일자리 엔진” 창업 지원 사업 생물권보전지역 관리기관, 샬제호수 생물권보전지역 후원협회, 연방고용청 공동으로 ‘창업의 날’ 행사를 개최 하여 예비창업자들이 아이디어 발표, 지역의 기업 및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자문  1998-2004년간 29개 회사 창업, 50개 정규 일자리 창출, 다른 지역으로 사업 확산 - 지역의 크기 : 경제순환이 가능한 적절한 규모 (행정구역 전체 등) 필요 - 생산기준 : 생태적이고 광범위한 기준이 적절히 마련 - 지역사업체 참여 : 농업인, 공예인 뿐 아니라 제조업, 판매업도 포함 - 정치인들의 정치적 지원 : 주정부 관련부처 지원 중요 전략과제 1 DMZ 생물권보전지역 비즈니스 활성화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관련 사례 지속가능 경제

21 <독일 쇼프하이테-코린 BR> <스위스 엔틀레부흐 BR> <멕시코 Sierra Gorda BR> <뢴 BR 로고> <뢴 BR 품질 인증마크><뢴 BR 유기농 인증마크> <추가인증(로컬푸드)> 1. 다양한 생물권보전지역 브랜드 인증마크 2. 독일 뢴 생물권보전지역의 브랜드인증마크 세분화 및 활용 사례 관련 사례 전략과제 2 DMZ 생물권보전지역 브랜드 인증마크 사업 추진  초기, 지역 농축산 특산물 생산 확대 마케팅과 숙식업체 중심 협력업체 사업을 중점 추진  2000년대, ‘통합 브랜드 뢴’ : 5개 시군 컨소시엄 사업으로 운영  운영경비 : 회비 20%, 5개 시군 80% 부담  다양한 인증상품 중 일부(비오나데 등) 뢴 지역 밖에서도 판매 지속가능 경제

22 현황 및 과제  지역 주민들의 생물권보전지역 및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가 매우 낮음  폭넓은 주민 참여 기회 향상 필요  사업추진을 위한 주체 발굴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 거점시설 부재 관리 목표  지역사회와 외부 일반시민으로 교육의 틀을 구분하고 각 대상별 교육 목적에 따라 프로그램 제공  생물권보전지역 선정 후 초기 : 지역사회의 인식증진, 지속가능한 경제 및 관광 사업 추진 주체 양성을 최우선적으로 추진  DMZ 일원의 특성을 살린 배우고 느끼는 교육을 관광과 연계하여 교육의 지속성과 질적 개선에 기여  외부 환경단체, 대학, 연구소 등과 협력하고 관련 전문가 참여 프로그램 추진  교육거점으로 기능하는 경기권 생물권협력센터 마련 계획 지표  DMZ 생물권주민대학 기초, 발전 심화 단게 매년 실시  DMZ 생물권협력학교 사업 실시 1년 차에 10개 학교, 2년 차에 20개 이상 학교 참여  사업 실시 2년 차에 경기권 교육거점시설 확보 0 0.1 0.2 0.3 법적 규제 보호지역 유네스코 지정 생태계 보호를 위한 연구 생태적 가치에 대한 국제적 인증 및 홍보 생태계 보전 및 지역사회 발전 추진 처음 들어본다 들어 본 적은 있으나 무엇인지 잘 모른다 <지역주민의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한 이해> 파주 연천 교육

23 ‘DMZ 생물권 주민대학’ 지역리더양성 프로그램 단계별 마을만들기 주민교육 프로그램 • 찾아가는 DMZ 교실 • 마을자원찾기, 그린맵 • 마을만들기 마스터플랜 작성 ‘DMZ 생물권협력학교’ 시범사업 지역사회 (학생) DMZ 생물권협력학교 지정 ESD, ASPnet 연계 협력 구축 지역사회 (주민, 공무원) DMZ생물권협력센터 (교육 거점시설) 조성 인적교류, 정보 및 자료 공유, 전시 등 전략과제 1 : 중점 대상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략과제 2 : 교육거점시설 설치 및 운영 교육

24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파주시 34개 학교 (민북지역 2개교 포 함) 15개 학교 8개 학교 연천군 12개 학교 5개 학교 2개 학교 단계 범위 주요 사업 내용 1단계 경기권 - 각 학교의 관심과 상황에 따라 DMZ BR의 역사·생태 현 장 및 관련 연구, 체험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평화 및 생태 주제 관련 학교 내 및 외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 참여 학교 간 활동 교류, 공동 추진 활동 실시 - 활동 주제에 맞는 국외 BR 학교와 교류 추진 (공동 프 로젝트, 교류방문 등) 2단계 경기권 및 강원권 (DMZ BR 전체) - 강원도로 사업 지역으로 확대 추진 - 전체 DMZ BR 학교(ASP 등) 간 현장 교류 활동 추진 3단계 국내 - 한국 MAB 사업과 연계하여 국내 다른 BR로 확산 추진 - “한국 생물권학교 프로젝트”로 추진하여 국내 BR 인식 증진 및 상호 교류 협력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