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PEACE PLATFORM DMZ 평화정거장

2발 간 사 G re et in gs 군사적 비무장지대 DMZ(Demilitarized Zone)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가슴 아픈 현실 을 투영하는 냉전의 산물이었습니다. 동시에 오랜 기간 이어져 온 남북의 단절, 대치, 경계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가장 위험하면서도 가장 안전한 곳, 가장 분주하면서도 가장 고요한 곳, 쓰라린 전쟁의 상처가 녹아 있지만 동시에 생명과 치유가 담긴 곳, 이 역설의 공간 DMZ에서 우리는 이제 ‘평화’를 바라봅니다. 경기도는 남북 간 평화협력 시대가 앞당겨지기를 기원하며 DMZ 일원에 평화를 상징하는 사업들을 추진해 왔습니다. 특히 민통선 내에 위치한 미군 반환공여지인 ‘캠프그리브스’는 2016년 첫 문화재생사업을 추진하며 새로운 역할을 띠게 됐습니다. 국민들과 소통하며 평화를 기원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준 셈입니다. 경기도는 DMZ 문화 플랫폼으로서 캠프그리브스의 의미를 되살리고자 역사·문화적 가치 및 자원의 보존이라는 키워드 아래 올해 ‘DMZ 평화정거장’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이는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산업단지와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의 우수사례로 선정되며 지속가능성을 발굴한 대표적인 사례로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한 반 도 평 화 의 시 대 , D M Z 평 화 를 상 징 하 는 새 거 점 캠 프 그 리 브 스 분단과 대결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그토록 고대하던 평화의 새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온 세계가 한반도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도 북한과 접하고 있는 경기도는 남북 교류 협력의 전진기지이자 동북아 평화경제공동체의 중심으로서 막중한 역할을 띠고 있습니다. 이 같은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속, 그 중심에 위치한 캠프그리브스 역시 역동적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의 잔상이 남은 기억의 장소임과 동시에 진정으로 평화를 꿈꾸는 소통과 울림의 장소로 거듭나고 있는 것입니다.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평화의 거점으로, 평화의 의미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는 열린 장으로, 캠프그리브스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든든히 뒷받침하는 마중물이 되고자 평화사업 정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캠프그리브스는 DMZ 평화를 상징하는 새로운 거점이자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플랫폼으로 그 정체성을 확장해 나갈 것입니다. 캠프그리브스가 내딛는 평화의 발걸음에 많은 박수와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10월 이 재 명 경기도지사

4발 간 사 G re et in gs The Demilitarized Zone (DMZ) is a product of the Cold War that reflects the heart-breaking reality of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It also symbolizes separation, confrontation, and the boundar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most dangerous but also the safest place, the busiest but also the quietest place, a place laden with the scars of war but also a place where life and healing are contained at the same time. We can now see “peace’ in the DMZ, a space of many paradoxes. The government of Gyeonggi Province has implemented projects symbolizing peace in the DMZ while praying for an era of peaceful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particular, “Camp Greaves,” a piece of land located inside the Civilian Controlled Line Area, formerly granted to but returned by the US Army, has assumed a new role since the first culture regeneration project was promoted there in 2016. It has demonstrated its potential for development into a space of culture and art that communicates with people praying for peace. To revive and renew the meaning of Camp Greaves as a DMZ culture platform, the government of Gyeonggi Province started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this year with the mission of preserving its historic and cultural values and resources. It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sustainability project whe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lected it as an outstanding “Project for Resurrecting Culture in Industrial Parks and Closed Industrial Facilities” in 2018. The entire world is watching the Korean peninsula as the era of peace that we have so long awaited is opening while the era of separation and confrontation is drawing to a close. Gyeonggi Province, which borders North Korea, is charged with the enormous role of serving as the forward base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and as the hub of a peaceful economic community in Northeast Asia. Amid such a tremendous paradigm change, Camp Greaves has also undergone a dynamic transformation, having been being reborn as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dreams of true peace, and as a place for remembering the Korean War. Camp Greaves began its new life as the basis of peace embracing all generations, and has become an open space where we can come together to ask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peace and how to achieve it. C am p G re av es a ne w b as e sy m bo liz in g th e ne w e ra o f p ea ce on t he K or ea n pe ni ns ul a an d pe ac e in t he D M Z The government of Gyeonggi Province is mobilizing all its resources to improve peace projects in order to serve a catalyst for a new era of peace and prosperity. Camp Greaves will further uphold its identity as a platform for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a new base symbolizing peace in the DMZ. We ask for your warmhearted support for Camp Greaves’ march towards peace. Thank you. October 2018 Lee Jae-myung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6발 간 사 G re et in gs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정전협정 조인으로 DMZ에 미군이 주둔하면서 캠프그리브스의 역 사는 시작되었습니다. 2004년에 마지막 주둔 부대였던 미육군 제506연대 소속 약 700여 명의 군인들이 이라크와 캘리포니아로 철수하면서 캠프그리브스는 기억되지 않는 장소로 방치되었 다가, 2013년 DMZ체험관(유스호스텔)이 개관하면서 재생의 공간으로 발돋움했습니다. 캠프그리브스 유스호스텔은 미군이 사용했던 막사를 리뉴얼한 건물로 미건축물의 형태와 기 능을 되살렸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또한 DMZ에서 불과 2km 남짓 떨어져 있 는 지역 내에 위치하여 민간인통제구역 안에 있는 유일한 체험형 숙박시설이라는 특수성을 갖 고 있습니다. 미군이 사용하던 건축물이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장소로서의 역사적인 가치를 지 닌 캠프그리브스는 2016년부터 시작된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한 숙박과 안보체험 시 설을 넘어서 역사, 문화, 예술이 집약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은 11년 만의 남북정상회담 이후 DMZ가 평화의 시대를 알리는 시작점이 되었다 는 점에서 올해 진행한 ‘DMZ 평화정거장’ 캠프그리브스 예술프로젝트의 의미는 남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1960년대에 지어진 퀀셋막사를 리뉴얼한 다큐멘타관에서는 기존의 전시 내용을 보강하고 새 롭게 공간을 구성하여,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통해 한국전쟁과 캠프그리브스의 역사를 보여주 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국립문서보관청(NARA)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해 한국전쟁과 캠프그 리브스의 역사를 고증할 수 있었습니다. 10명(팀)의 미술작가는 DMZ와 캠프그리브스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녹여낸 17점의 창작작품 으로 캠프그리브스 곳곳을 예술로 물들였습니다. 또한 6월부터 10월까지 주말마다 진행된 거 리예술 공연은 캠프그리브스에 문화예술의 활기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 기간 중에 캠프그리브스에서 복무했던 미군과 카투사분들이 캠 프그리브스를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기억 속에만 있었던 캠프그리브스가 다시 살아나는 순간 이었습니다. 앞으로 더욱 다채롭고 깊이 있는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통해 캠프그리브스의 시간과 공간을 좀 더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끝으로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에 도움주신 모든 분 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8년 10월 유 동 규 경기관광공사 사장 The history of Camp Greaves began when US troops were stationed in the DMZ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on 27 July 1953. Camp Greaves was abandoned after approximately 700 soldiers of the 506th Regiment, the last US Army unit stationed there, were relocated to Iraq or California in 2004. It was finally resurrected with the opening of the DMZ Experience Hall (Youth Hostel) in 2013. The Youth Hostel at Camp Greaves is of great significance as its construction revived its history of once being the barracks used by American soldiers and revealed the form and function of American building structures. The Youth Hostel is particular as it is the only experience-type accommodation facility inside the Civilian Controlled Line Area, just two kilometers from the DMZ. These are the only US Army barracks in Korea to have been preserved in their original form. Ever since the commencement of cultural and art projects in 2016, Camp Greaves has surpassed as being just a site for accommodation or a security facility tourist attraction, and has transformed into a space where history, culture and art coexist. It is especially worth noting that Camp Greaves hosted the art project “DMZ Peace Platform” in 2018, after the DMZ had become the focal point in heralding a peaceful era after the North-South Summit Meetings were held after 11 years of impasse. Documenta halls, renewed quonset huts built in the 1960s, conserve existing exhibits and have renovated the space to present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and Camp Greaves through diverse audio-visual materials. Specifically, materials for the study into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and Camp Greaves were collected from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Nine artists and one artist group decorated every corner of Camp Greaves with seventeen works of art depicting the spatial and historical relevance the DMZ and Camp Greaves. In addition, the street performances held every weekend from June to October brought culture and art to Camp Greaves. Some former American and KATUSA soldiers who had served at Camp Greaves visited the site during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It was a moment for Camp Greaves to be resurrected from their past memory. We hope more people will be able to share time and space at Camp Greaves with more diverse and in-depth culture and art projects from now on. Lastly,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thanks to all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October 2018 Yu Donggyu President of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02 Greetings 10 Introduction of Camp Greaves 11 DMZ Peace Platform Project 12 Creative Art Show 14 TANYAKGO Project #1 18 JEONGBIGO Project #1 20 MEDIA Project #1 24 DMZ Peace of Garden 44 Artists 48 DMZ Research Project History of the Korean War and Camp Greaves 52 Exhibitions at Other Related Organization 1950th DMZ KOREA seen through the Eyes of NNSC DMZ Documentary Cinema 54 Street Art Performance Let’s Have Fun in the DMZ 60 DMZ Peace Festival DMZ Talbakkum Peace Hanmadang 02 발간사 10 캠프그리브스 소개 11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 12 예술창작전시 14 탄약고 프로젝트 #1 18 정비고 프로젝트 #1 20 미디어 프로젝트 #1 24 DMZ 평화의 정원 44 참여작가 48 DMZ 리서치 프로젝트 한국전쟁과 캠프그리브스의 역사 52 유관기관전시 중립국감독위원회가 본 1950년대 DMZ KOREA DMZ 다큐시네마 54 거리예술공연 놀아보자 in DMZ 60 DMZ 평화페스티벌 DMZ 탈바꿈 평화한마당 목 차 In de x

10 파주시 민간인 통제구역 내, DMZ 남방한계선에서 불과 2㎞ 떨어진 곳에 위치한 캠프그리브스는 과거 50여 년 간 미군 기지로 사용되었던 공간으로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미군의 건축양식이 축적된 곳이다. 2004년 미군 철수 이후 캠프그리브스는 평화, 생태, 문화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미군 시설이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 며 체험형 숙박시설을 갖추고 있는 캠프그리브스는 DMZ 평 화정거장 프로젝트를 통해 역사, 문화, 예술이 집약된 예술클 러스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는 공연, 전시, 페스티벌 등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통해 캠프그리브스의 안보·역사·문화·생 태 자원에 대한 보전 가치를 높이고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스 토리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본 프로젝트를 통해 원형 그 대로 보존되어 있는 미군 건축물과 캠프그리브스의 역사를 시각적으로 경험하며, 다채로운 예술창작전시와 거리예술공 연 등을 관람할 수 있었다. 역사, 문화, 예술의 공간으로 재탄 생한 캠프그리브스는 전쟁의 기억을 씻어 내고 평화의 시대 를 상징하는 평화정거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was conceived and planned as a means of enhancing the value of preserving the security, historical, cultural, and ecological resources of Camp Greaves through a diverse series of cultural and arts events such as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festival, and of educating visitors about the camp through various story formats. Under this project, visitors were able to visually experience American buildings preserved in their original state and the history of Camp Greaves, as well as enjoying diverse art exhibitions and street performances. Reborn as a zone of history, culture and art, Camp Greaves is washing away the memories of war and evolving into a “peace platform” that is a symbol of a more peaceful era. Located in the Paju Civilian Control Zone, just two kilometers from the DMZ South Limit Line, Camp Greaves was a US military base for fifty years, and thus contains a variety of American architectural styles from the period 1950-1990. Since the relocation in 2004 of the US military unit that was stationed here, Camp Greaves has been transformed into a zone of peace, ecology and culture. As the only US military facility to have been preserved in its original form, Camp Greaves has lodging facilities for special tours. Through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Camp Greaves performs the function as a complex of art, history, and culture. D M Z 평 화 정 거 장 프 로 젝 트 D M Z P ea ce P la tf or m P ro je ct D M Z 평 화 정 거 장 프 로 젝 트 D M Z P ea ce P la tf or m P ro je ct 캠 프 그 리 브 스 소 개 In tr od uc ti on o f C am p G re av es

12 예 술 창 작 전 시 C re at iv e A rt S ho w ‘경기도 DMZ 일원에 위치한 민통선 내 유일한 미군 반환공여지’ 캠프그리브스의 성격을 압축적으로 나타내는 이 문구는 대부분 공간성에 수렴된다. 캠프그리 브스가 DMZ 일원의 보전해야 할 가치를 지닌 자원으로 상징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프로젝트 를 기획하면서 핵심 기반으로 삼은 주제는 ‘장소성’이었다. 캠프그리브스 공간이 갖는 장소성 은 역사·문화·생태를 포괄하는 복합적인 시간의 역사를 내포한다. 장소와 장소를 연결하는 경로이자 과거와 현재, 미래의 시간을 이어주는 경험의 장소가 예술과 만나는 현장, 그 곳에서 DMZ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는 시대를 상징하는 장소의 역사와 이야기를 새로운 가치로 전환하 는 것에 주목한다. 아픔의 역사에 ‘문화’로 생명을 부여하고, 예술 작품으로 차가운 물성의 보 존적 공간을 중화시키는 경계의 넘나듦이다. 이는 경계에 서있는, 우리가 소비해 온 전쟁의 이 미지를 희석시키고 현재와 호흡하는 비정형화된 예술 공간으로 확장되었다. 민통선 내 전쟁 역사의 장소에 조성된 예술 공간, 예측하지 못한 반전을 이루는 캠프그리브스 DMZ 문화 플랫 폼이 탄생하였다. ‘평화’의 의미로 채워진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들은 사실상 ‘시간’과 ‘기억’에 대한 이야기에 가깝다. 예술가들은 축적되어 온 기억과 앞으로 만들어갈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치열하게 풀 어내어 이 공간의 정체성과 마주하였다. 이들은 정체성을 보존하고 구축하는 공간이면서 미래 예술을 향한 창조적 실험이 가능한 국제적 교류 거점으로서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캠프그리 브스에서 글로벌 예술창작 허브를 꿈꿀 수 있는 단초를 발견하는 지점이다. 이은경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 예술총감독 The notion that Camp Greaves is “a piece of land formerly granted to, but returned by, the US military inside the Civilian Controlled Line Area stretching along the Demilitarized Zone (DMZ) in Gyeonggi Province” gives us a greater awareness of its spatial context. This perspective allows us to see Camp Greaves as a symbol for nature as it preserved much of the resources in the DMZ area. Thus, the core focus during the planning of the project was “placeness.” The placeness of Camp Greaves reveals the complex history of time embracing the flow of history, culture and ecosystem. The DMZ project was started at this site where art is met by the path connecting different places and the place of experience that connects the past with the present and future.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pays atten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place, history and story symbolizing the era into new values. It is a transcendental exchange at the border neutralizing a conservative space of cold physical attributes with art pieces while vesting life to the painful history with “culture.” It was extended into a space of art unstructured breathing with the present while diluting the image of war we have consumed at the border. The DMZ culture platform was born at Camp Greaves to achieve an unexpected twist in a space of art unfolded in a historic venue of war inside the Civilians Controlled Line. In fact, the takeaway points of this project, filled with meanings of “peace,” are closely related to stories about “time” and “memory.” The artists unveiled the identity of this space by fiercely unfolding stories about time with memories accumulated so far. They opened the potential of an international exchange hub where creative experiments may be conducted for future arts while being a space where its identity is preserved and further built upon. Camp Greaves is a point where they discovered a clue with which they can dream of a global hub for artistic creation. Lee Eunkyoung Artistic Director of DMZ Peace Platform Project 시 간 의 문 을 열 다 , D M Z 평 화 정 거 장 프 로 젝 트 T he g at e of t im e, D M Z P ea ce P la tfo rm P ro je ct

14 2018, 미끄럼틀, 그네, 혼합 재료 가변 크기 2018, slide, swing, mixed media variable size 탄 약 고 프 로 젝 트 # 1 T A N Y A K G O P ro je ct # 1 플레이그라운드 제로 주변 대상들이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를 사물들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고 친밀한 대화를 통해 성찰하고자 한다. 각 사물이 나에게 다가오는 방식을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구체화하고 자 했다. 시각적으로 익숙하고 유사하고 무의미한 일상의 존 재들의 생경한 결합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공유하게 만 든다. 이는 단순히 인공물과 자연물 혹은 생과 사의 결합이라 는 대립적이며 방법적인 요소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이 런 새로운 결합으로 탄생하는 접점과 그 교집합에서 만들어 지는 새로운 이야기와 에너지 생명력에 중점을 둔다. Playground 0 The artist aims to examine how subjects in our surroundings are remembered by listening into the whispers of objects and their intimate conversations. Using various media, the artist attempts to materialize how each object approaches him. The crude combination of daily existences, visually familiar, similar and insignificant, gave a new meaning and made him share with his audience. This does not place an importance in merely opposing and methodical elements, known as a union of man-made objects and natural things, or life and death, but in points of contacts created by such a union and a new story and vitality of the energy being created in the intersection. 김명범 Kim Myeongbeom

16 탄 약 고 프 로 젝 트 # 1 T A N Y A K G O P ro je ct # 1 김명범 Kim Myeongbeom 플레이그라운드 제로 2018, 사슴 박제, 혼합 재료 가변크기 Playground 0 2018, stuffed deer, mixed media variable size

18 정 비 고 프 로 젝 트 # 1 JE O N G B IG O P ro je ct # 1 김명범 Kim Myeongbeom 부유하는 나무, 2018 플라스틱 풍선, 나무, 혼합 재료 가변 크기 Floating Tree, 2018 plastic balloon, tree, mixed media variable size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 기간 동안 김명범 작가가 정비고 를 작업실 겸 스튜디오로 운영하였다. 작가는 정비고 프로젝 트 #1을 통해 <부유하는 나무>를 중심으로 기존의 다양한 작 업을 공개하였다. <부유하는 나무>는 땅에서 벗어나 뿌리를 내보이는 죽은 나무가 공중에서 붉은 풍선더미와 만나 열매 가득한 생명을 품은 나무로 부활한 작업이다. During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artist Kim Myeongbeom operated an open studio out of a garage. Kim seeked to introduce various works through “JEONGBIGO PROJECT #1,” highlighting his existing artwork titled “A Floating Tree.” This artwork features a dead tree exposing its root away from the earth, meeting a bundle of red balloons in mid-air, and resurrecting to become a tree full of life.

20 미 디 어 프 로 젝 트 # 1 M E D IA P ro je ct # 1 박찬경 Park Chankyong 2017, 상영 시간 16'09''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한 35미리 필름사진 연속상영, HD video 가변 크기 소년병 정치나 군사를 떠난 북한은 존재할까? 모든 이념, 정치, 전쟁 과 무관한 북한의 이미지는 가능할까? 강력한 냉전사회에서 적대국가의 평범한 일상, 자연, 게으른 행동, 순진한 판단은 모두 금기가 된다. 순하고 어린 인민군은 남한 사람에게는 상상하기 어려운 이 미지이다. 순하고 어린 미군의 이미지를 북한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 과 같다. 평화롭게 통일된 남북한은 거의 무릉도원처럼, 먼 설화처럼 되었다. 남북한 관계가 과잉권력과 거대집단들의 손익계산 속에 있다 면, 적대 국가에서 하루하루를 사는 개인의 순수하게 일상적 이며 게으르고 순진한 행동이야말로 상상하기 힘든 ‘설화’가 아닐까. 인민군복을 입은 한 소년이 숲속에서 아무런 목적도 생각도 없이 배회한다. 라디오를 듣는다. 책을 읽고 노래를 부른다. 아무 것도 특별히 할 일이 없다. 이 작품은 북한에 관한 가장 ‘약한 이미지’를 만들어 본 것이 다. 급기야 아무런 정치적 이미지가 되지 못할 정도로 약한 이 미지가 ‘불순한’ 이미지가 된다.

22 미 디 어 프 로 젝 트 # 1 M E D IA P ro je ct # 1 박찬경 Park Chankyong 2017, airing time 16'09'' consecutive feature of 35mm film converted to digital image HD video variable size Child Soldier Does North Korea exist beyond the realm of politics or military affairs? Is it possible to draw an image of North Korea that is not related to ideology, politics, or war? In a society steeped in cold war mentality, it is taboo to imagine that ordinary life, nature, laid- back attitude, and innocence can exist in the enemy country. For South Koreans,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e soldiers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s gentle and childlike individuals. In the same way, the image of US soldiers as gentle and childlike individuals is unacceptable in North Korea. A peacefully united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talked about like a faraway utopia. If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n relationship is at the mercy of the politics of great powers, the routine and unassuming innocent act of individuals living day by day in the enemy country is a “fable” that is hard to imagine. A boy dressed in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uniform walks in the woods with no purpose or thought. He listens to the radio. He reads a book and sings. There is nothing special to do. In this work, the weakest possible image of North Korea was created. An image so weak that it cannot be used politically becomes an “impure” image.

24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정문경 Chung Munkyung 2018, 철창에 헌 옷 가변 크기 2018, used clothes, installation at steel-barred window variable size Full Square 주변에서 모은 헌 옷들은 시간의 흐름과 오랜 기억을 간직한 인간 존재의 흔적으로 개개인을 대변한다. 네모 안의 꽉 찬 옷 들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소통하고 타협하는 우리 들 자신이 된다. Full Square The old clothes collected from here and there are traces of human existence that preserve the flow of time and distant memories. They represent individual human beings. The clothes, which are stuffed into squares, depict us as beings who always try to communicate and to reach a compromise in our social relationships.

26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정문경 Chung Munkyung Shades of Shadow 모든 것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시작과 끝을 알리는 북소리가 들려온다. 실제는 정지된 상태이지만 여러 기억들이 혼재되 어 현실적 한계와 맞닿아 있는 생생한 존재감을 보여준다. Fort 인간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옷’이라는 재료 를 가지고 누구나 어린 시절에 가지고자 했던 자신만의 공간 을 모티브로 작품을 만들었다. 방어를 위해 만들어진 이 ‘요 새’는 자신을 보호하고 쉴 수 있는 공간이지만 수많은 사람들 의 옷들로 연결되어 둘러싸인 개개인의 집단과 연결된 사회 적 공간이기도 하다. Shades of Shadow From the spot where all things intersect, the sound of a drum announcing the beginning and the end can be heard. It is in fact in a stationary state but shows a sense of lively presence where various memories meet with the boundary of reality. Fort Made of “clothing” as material, which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human relations, the artwork employs the motif from one’s private space which everyone desired to own in youth. With a purpose of defense, this “fortress” is a space for one to rest and protect himself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social space connecting individuals wrapped around and connected with clothing of the multitude. 2018, 빔프로젝터, 조명, 혼합 재료 가변 크기 2018, beam projector, lighting, mixed media variable size 2018, 헌 옷, 혼합 재료 가변 크기 2018, used clothes, mixed media variable size

28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정보경 Jung Bokyung 2018, 페인트를 칠한 돌멩이 가변 크기 2018, painted stone variable size 2018, 600Φ 원형 알루미늄 표판 스테인리스 스틸 앵커 지주 가변 크기 2018, 600Φ aluminium sign, stainless steel anchor pillar variable size 구부러진 직선 GP(가드 포인트) 경계 철망에 꽂힌 경계석(돌멩이)에서 착안 한 작품으로, 분단의 경계를 보다 유연한 관계로 바라보며 일 직선의 경계가 아닌 양국의 영역에 교차 중복된 지형을 표현 한 표석(돌멩이에 표시) 설치 작업이다. 미사일 금지구역, 저격 위험구역 오랜 휴전 속에 지속된 분단국가의 전시(WAR) 상항은 ‘비무 장지대’라는 특별한 공간을 만들어 냈다. 하지만 이 공간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중무장’ 상태여야만 한다. <미사일 금지 구역 저격 위험구역>은 비무장지대 의미에 맞게 공간을 해석 함으로써, 작가가 디자인한 ‘미사일 아이콘’과 ‘과녁 이미지’ 를 도로 표지판 형태로 제작 · 설치하여 DMZ의 장소 특정성 에 부합된 작업을 선보였다. Curved Straight Line Inspired by a boundary stone fitted to the guard point wire fence, the artwork views the boundary of separation as a more flexible relation. The installation work features a stone monument, which expresses not a straight-lined boundary but topographies intersecting in the areas of both countries. Non-Missile Zone, Sniper Danger Zone The war zone of the divided nation that lasted in the long truce created a special space called the “Demilitarized Zone.” In order to access this space, however, one must be in a state of “heavy armament.” <Non-Missile Zone, Sniper Danger Zone> i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DMZ, so that the “missile icon” and "bulge image” designed by the artist are produced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road signs to show work that befit the location characteristic of the DMZ.

30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정보경 Jung Bokyung 벙커 아일랜드 분단국가의 지형적 한계를 섬으로 간주하며, 작가가 제작한 배를 통해 섬을 탈출하는 해양 퍼포먼스 작업이다. 분단이라 는 사회적 관념 속에서 ‘익숙한 불안에서 낯선 불안으로의 항 해’를 가짐으로써 현실적 도피에 대한 질문을 던져본다. Bunker Island The marine performance expresses the geographical limit of a separated country as an island, from which the artist escapes on the boat he made. As the artist goes on “a voyage, from familiar anxiety to foreign anxiety,” in the social custom called “separation,” he casts a question of a realistic escapade. 2014, TV 모니터, 상영 시간 13'00'' 가변 크기 2014, TV monitor, airing time 13'00'' variable size 탕탕탕탕탕, □□□□ 무기(총)가 가지고 있는 강한 성질을 얇고 속이 비치며 깨지 기 쉬운 유리로 변환하였다. 유리로 만든 총은 전쟁의 공허함 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Shot Shot Shot Shot Shot, □□□□ The strong property of a weapon(gun) was transformed to thin, transparent and fragile glass. A gun made of glass paradoxically expresses the emptiness of a war. 2018, 유리판 가변 크기 2018, glass plate variable size

32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강현아 Kang Hyunah 2018, 나무 판넬에 UV 코팅, 아크릴 가변 크기 2018, UV coating, on the wood panel, acrylic variable size 기이한 DMZ 생태누리공원 예민한 감각을 지닌 생물들이 감시 받는 땅에서 어떤 식으로 생활을 영위하는지, 실제 DMZ 구역 내 일부를 공원으로 설정 하여 그들 내에 일어나는 생태 현상을 드러낸다. The Strange DMZ Eco Nuri Park In order to discover how sensitive wildlife go about their daily lives in a closely monitored zone, a park was created in a section of the DMZ to reveal the fascinating ecological dynamics taking place there.

34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박성준 Park Seongjun 2018, interactive installation, 2 computers, 2 kinect sensors, 8 speakers, 1 screen, 19 illuminators, 2 fog machines variable size YOUR FLAME II 인간의 삶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서로 상반된 두 개의 요 소인 전쟁과 축제에는 항상 불꽃이라는 이미지가 각각 그 시작 과 끝이 되어 뒤따른다. 이러한 불꽃 이미지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머물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전쟁과 축제의 상징적 대상 이 된다. 불꽃이라는 모티브로 시작된 작품 <YOUR FLAME II> 는 데이터 베이스화 된 불꽃 이미지와 사운드를 통해 관람자에 게 극단적이며 서로 다른 두 개의 감정(전쟁과 평화)을 동시에 경험케 하여 같은 대상을 보고도 서로 상반된 시선을 갖게 되 는 인간의 이데올로기적 갈등에 근원적 질문을 던지며 평화의 메시지를 역설하고 있다. YOUR FLAME II The piece, while exploring war and festivals, begins and ends with images of fireworks as a way to link two opposing factors that have a profound effect on human life. The images of fireworks are used ironically to serve as a symbol for war and festival while remaining in human emotions and thoughts. “YOUR FLAME II,” which starts with the motif of fireworks, gives viewer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wo polar opposite emotions (war and peace) simultaneously with database images and sounds of flames. It also questions the ideological conflicts of human beings who have the contrary views despite seeing the same thing and emphasizes the message of peace.

36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시리얼타임즈 c.realTimes 117kb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지뢰가 밀집된 땅, DMZ에서 지뢰 찾기 '게임'을 한다. 관람객은 행위의 주체가 되어 지뢰 찾기 게임에 참여한다. 인터랙션을 통한 직접적인 개입으로 참여 자는 심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DMZ를 바라보게 된다. '게임'이라는 가벼운 매체임에도 'DMZ에서, 지뢰를 찾는다' 라는 의미적 유사성에서 작품과 관람객 사이에는 긴장감이 발생한다. 작품은 가벼움과 무거움, 실재와 가상 사이를 오가 며 DMZ 내 지뢰의 심각성을 표출하고 동시대 구성원이 정 보를 접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117kb Play a landmine “game” at the DMZ, the place with the most land mines in the world. The actions of the participants are the subject of the minesweeper game. Through direct interaction, participants will see the DMZ on a closer psychological level. Though it is light- heartedly called a “game,” tension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can be felt in a semantically similar way of “searching for mines in the DMZ.” The artwork reveals the severity of land mines in the DMZ, moving between lightness and heaviness, reality and virtual, and explores the way contemporary people are exposed to and receive information. 2018, 혼합 재료 가변 크기 2018, mixed media variable size

38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인세인박 Insane Park 2018, 철 구조물에 네온 384×200×210cm 2018, neon on the steel frame 384×200×210cm ISM! ISM! ISM! 이념을 뜻하는 ‘ISM’을 ‘잊음’에 관한 작업이다. 한국사회 에서 구시대의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하는 이념 간의 대립을 잊기 위한 하나의 매개체로서 존재한다. ISM! ISM! ISM! This work equates “ISM,” meaning “ideology,” with the Korean word for “forget.” Despite being a product of the old generation, it serves as a medium for forgetting the conflict between the old ideologies that still exist in Korean society today.

40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장영원 Jang Youngwon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토치카 시티 : 붕괴물 <토치카 시티 : 붕괴물>은 일정 시간 동안 풍화 혹은 재난으 로 인해 고유 하중치를 넘어선 건축물의 붕괴되는 순간을 재 현하고 있다. 이러한 순간의 재현은 예견되지 못하는 불안 과 재난 그리고 용도의 쓰임이 사라지면 흉물로 전락해 버리 는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근대에 지어진 다리 구조 이미지들을 섞어 만든 이번 작품은 DMZ 내 철거 예정인 냉 전시기 미군 건축물 안에 설치됨으로써, 공간과 함께 소멸을 유예 받은 이데올로기 오브제로의 정체성을 가진다. TOCHKA CITY: Collapsed Material “TO C H K A C I T Y: C o l l ap s e d M a t e r i a l ” reproduces the moment of the collapse of a building beyond its natural load due to a disaster or weather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reproduction of these moments visually shows the structures that fall into disrepair when unforeseeable anxieties, disasters, and use of utility disappear. This artwork, which is a mixture of images of bridge structures constructed in the modern era, aims to identify the object-oriented ideology of destruction by showing the process through time and the space of the installation, a U.S. military building built during the Cold War. 2018, 콘크리트, 스터코, 나무, 쇠, 스티로폼, 현장 오브제 300×140×240cm 2018, concrete, stucco, wood, iron, styrofoam, on-site object 300×140×240cm

42 D M Z 평 화 의 정 원 D M Z G ar de n of P ea ce 장용선 Jang Yongsun 2018, 강아지풀, 제초된 들풀, 윤형 철조망, LED 디밍 조명 가변 크기 2018, foxtails, mowed-weeds, barbed wire, dimming LEDs variable size Treasure N37°53'56.8212" E126°43'43.2192" 작품 <Treasure N37°53’56.8212“ E126°43’43.2192”> 은 캠프 그리브스-DMZ의 좌표값이다. <보물 DMZ>는 이미 소멸된 천연기념물을 박제하여 자연과 도시, 그리고 사회적 기준에 의해 은폐되어 있는 진실을 드 러내고 이를 반성과 정화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하는 나의 예 술적 제안이다. 하찮은 것, 버려질 것들을 보물이라 규정한다 면 우리는 과연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관객들과 생명 으로서의 대자연을 마주하는 태도에 대해서 함께 재고하고 자 한다. Treasure N37°53'56.8212" E126°43'43.2192" The artwork refers to the coordinate value of Camp Greaves-DMZ. “Treasure DMZ” is my artistic proposal, which reveals the truth hidden by the norms, natural, urban and social, by taxidermying an already extinct natural monument, and makes viewers see the truth through the eyes of self-examination and purification. The artwork asks viewers as living beings to reconsider their attitude in dealing with nature. If we are to designate trivial things and things that are to be discarded as treasures, how should we embrace them?

44 김명범 Kim Myeongbeom 김명범(b.1976)은 서로 다른 일상의 사물을 새로운 맥락 속에 위치시킴으로써 다층적으로 확장된 의미 를 전달하는 작업을 전개한다.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조각학과 졸업 후 시카고예술대학 조각과 석사 학위 를 수여했다. 아트바젤 홍콩, 제주도립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고, 제주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문화 역 서울 284, 갤러리 파리-베이징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벽산문화재단 재능 있는 젊은 예술인, SeMA 신진작가 등에 선정됐다. Kim Myeongbeom(b.1976) develops works conveying extended meanings by the multi-layer placing of different everyday objects in a new context.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 at University of Seoul, he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sculpture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He opened solo exhibitions at Art Basel Hong Kong and the Jeju Provincial Museum of Art, and participated in various group exhibitions at the Amore Pacific Museum of Art, Culture Station Seoul 284, and Gallery Paris-Beijing, and more. He was selected as a talented young artist by the Byucksan Cultural Foundation, new artist by SeMA, and more. 박찬경 Park Chankyong 박찬경(b.1965)은 서울에서 활동하는 작가이자 영화 감독이다. 그는 냉전, 한국의 전통 종교 문화 등을 주 제로 다뤄왔다. 주요 작품으로는 <세트>(2000), <파워통로>(2004), <비행>(2005), <신도안>(2008), <광명천지>(2010), <다시 태어나고 싶어요, 안양에>(2011), <파란만장>(2011, 박찬욱 공동 연출), <만신>(2013), <시민의 숲>(2016) 등이 있으며 로스엔젤레스의 레드캣 갤러리, 런던의 이니바, 서울의 국제갤러리, 뉴욕의 티나킴 갤러리,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등 여러 곳에서 작품이 소개된 바 있다. 에르메스 코리아 미 술상(2004), 베를린국제영화제 단편영화부문 황금곰상(2011),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장편경쟁부문 대상 (2011) 등을 수상하였다. 2014년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4 - 귀신, 간첩, 할머니’의 예 술감독을 맡았다. Park Chankyong(b.1965) is a writer and film director working in Seoul. His work deals with themes such as the Cold War and traditional Korean religious culture. His major works include “Set”(2000), “Power Passage”(2004), “Flying”(2005), “Sindoan”(2008), “Gwangmyeong Hevaen”(2010), “Anyang, Paradise City”(2011), “Night Fishing”(2011, co-produced with Park Chanwook), “Manshin”(2013), and “Citizen's Forest”(2016). His works were shown in many locations such as the RedCat Gallery in Los Angeles,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Visual Arts (INIVA) in London, International Gallery in Seoul, Tina Kim Gallery in New York, and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Gwacheon. He has received the Hermes Korea Art Award(2004), the Golden Bear Award at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hort Film Field(2011), and the Grand Award at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n Feature Field(2011). In 2014, he was an artistic director of “SeMA Biennale “Media City Seoul” 2014 - Ghost, Spy, and Grandmother.” 참 여 작 가 A rt is ts

46 정문경 Chung Munkyung 정문경(b.1981)은 옷과 같은 개인적인 시간이 축적된 오브제를 통 해 관계의 고민과 갈등을 해소하려는 작업을 선보인다. 서울시립대 학교 환경조각학과 및 칼아츠 대학원 아트과를 졸업했다. 인사미술 공간, 송은아트큐브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SeMA 신진작가로 선정되었으며, 난지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로 활동한 바 있다. Chung Munkyung(b.1981) shows works to resolve the anxieties and conflicts of relationships through objects that accumulate personally over time, such as clothes. S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d the Department of Fine Arts at CalArts Graduate School. She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the Insa Art Space and SongEun Art Cube, and was selected as a SeMA new artist. She has also worked as an artist-in- residence at Nanji Creative Studio. 시리얼타임즈 c.realTimes 시리얼타임즈는 강민준, 김민경, 송천주로 구성된 미디어아트 그룹 이다. 포스트디지털 세대가 경험하는 동시대 현상을 탐구하고, 피상 적인 이미지를 소비하는 현대사회를 다층적인 시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보여준다. 성남아트센터, 양평군립미술관, 평창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c.realTimes is a media art group comprising Kang Minjoon, Kim Minkyung, and Song Cheonjoo. The post- digital generation is exploring the contemporary phenomenon experienced in the digital age, and shows a multi-layered analysis of the modern society that consumes superficial images. They have had exhibitions in Seongnam Art Center, Yangpyeong Art Museum, Pyeongchang Media Art Project, and more. 강현아 Kang Hyunah 강현아(b.1983)는 자연 속의 생명체가 가지는 생에 대한 의지와 변 화를 작가의 상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서울시립대학교 환 경조각학과를 졸업했고, 제주비엔날레, 성북도원, 리얼 DMZ 프로젝 트 등의 기획전에 참가했다. 서울예술치유허브에 입주작가로 활동 했다. Kang Hyunah(b.1983) visualizes the will and the changes of life in nature through the imagination of an artist. S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 at the University of Seoul and has participated in exhibitions such as at the Jeju Biennale, the Seongbuk Art Pumping Station, and the Real DMZ Project. She worked as an artist-in-residence at Seoul Art and Healing Hub. 장영원 Chang Youngwon 장영원(b.1980)은 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기억과 경험이 맞물리는 물리적인 시공간이 사라지거나 무너지는 지점을 인스톨레이션, 회 화 작업을 통해 짚어낸다. 상명대학교 서양화학과 학사 및 석사과정 을 졸업했고, 스페이스 선 플러스, 통의동 보안여관, 포네티브 스페 이스 외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평화문화진지 1기 입주작가로 활동한 바 있다. Chang Youngwon(b.1980) points out through installations and paintings where physical time and space in which personal memory and experience are intertwined in Korean society disappears or collapses. He received his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at Sangmyung University. He has had many solo exhibitions in places including Space Sun+, Artspace Boan 1942, and Ponetive Space. He has been working with the first group of artists-in-residence at Culture Bunker. 정보경 Jung Bokyung 정보경(b.1983)은 분단사회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를 미사일 도형의 아이콘과 홀로그램, 영상, 조각, 회화 등 다양한 복합 매체를 통해 유 머러스한 방식으로 전달한다. 한남대학교 미술대학 및 교육대학원 을 졸업했고,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예술전문사 과정에서 홀로 그래픽아트를 전공했다. 홍성 레지던스 프로그램, 익산 창작스튜디 오 입주작가 및 큐레이터로 활동한 바 있으며, 현재 예술단체 아트베 이스캠프 및 출판사 PLAN.B의 대표를 맡고 있다. Jung Bokyung(b.1983) communicates social messages related to divided nature of societies in a humorous way, such as through icons, holograms, images, sculptures, paintings, and various other complex media. He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Fine Arts an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Hannam University, and majored in Holographic Art in Master of Fine Art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He has been working as an artist-in-residence and curator for Hongseong Residence Program and Iksan Creation Center. Currently, he is the executive of an art group called ART BASE CAMP and a publishing company called PLAN.B. 인세인박 Insane Park 인세인박(b.1980)은 ‘예술가는 창작자가 아니라 편집자’라는 태도 로 사진, 영상, 설치를 통해 이미지와 텍스트가 전하려는 고정된 틀 에서 벗어나는 작업을 선보인다. 경기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으 며, 아라리오미술관, 아트프로젝트 AZ, 백운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메이크샵 아트 스페이스, 경기창작센터, 영은 창작스튜디 오 입주작가로 활동했고, 에트로 미술상 대상을 수상했다. Insane Park(b.1980) presents works that deviate from the fixed framework in which images and texts are conveyed through photography, video, and installation with the attitude of “an artist is not a creator, but an editor.”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Western Painting at Kyonggi University. He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Arario Museum, Art Project AZ, Baekun Art Gallery, and more. He worked as an artist- in-residence at the Makeshop Art Space, Gyeonggi Creation Center, and Youngeun Creative Studio, as well as receiving the grand prize at the Etro Art Awards. 박성준 Park Seongjun 박성준(b.1979)은 스위스 제네바고등미술학교에서 시각예술과 미 디어 디자인을 수학하였다. 제주 이아 레지던시, 남원 사운드아티스 트 레지던시 입주작가로 활동했고, 영화적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 는 영상, 인터랙티브 설치, 미디어 퍼포먼스를 통해 작품 활동을 이 어가고 있다. 영상언어를 해체하고 조합하여 의도적으로 혼란과 괴 리의 공간을 재현하고 극대화시키는 그의 작업은 욕망과 불안에서 기인하는 인간의 갈등이 담겨져 있다. Park Seongjun(b.1979) studied visual arts and media design at Haute école d'art et de design Genève. He has been working as an artist-in-residence in the Jeju Art Space IAa and the Namwon Sound Artist Residency programs and continues his works through video, interactive installation, and media performance based on film narrative. His works, which deliberately dismantle and combine the language of images to reproduce and maximize the space of confusion and divergence, contains human conflicts arising from desires and anxieties. 장용선 Jang Yongsun 장용선(b.1980)은 조각, 설치 작업을 통해 대자연의 경이로움, 자연 과 생명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가치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서울시립 대학교 환경조각학과 학사 및 석사과정을 졸업했으며, 스페이스 나 인, 갤러리 도스, 가나인사아트센터 등에서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 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미국 Sculpture Space 레지던스 입주작가로 활동했고, 독일 노르드아트 퍼블릭초 이스 어워드 1등을 수상했다. Jang Yongsun(b.1980) , through sculpture and installation work, asks about the wonders of nature and the human perception on the value of nature and life. 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Seo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ulpture, receiving both his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there. He has had many solo exhibitions in places including Space 9, Gallery DOS, and Gana Insa Art Center. He has worked as an artist-in-residence at the ClayArch Gimhae Art Museum, Cheongju Art Studio, Sculpture Space Residence in the United States, and won the top prize at the Nordic Art Public Choice Award in Germany. 참 여 작 가 A rt is ts

48 다 큐 멘 타 관 D oc um en ta D M Z 리 서 치 프 로 젝 트 D M Z R es ea rc h P ro je ct 미군이 사용했던 퀀셋막사를 리뉴얼한 전시관이다. 퀀셋막 사는 비품실, 화장실 및 샤워실, 보일러실, 중대사무실, 저장 고와 보급소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변형되어 설치되었다. 퀀셋막사는 부산시민공원과 양주 레드클라우드 등에도 남아 있지만, 원형 그대로의 형태와 내부가 보존된 퀀셋막사를 직 접 볼 수 있는 곳은 캠프그리브스가 유일하다. 다큐멘타관 1 한국전쟁과 DMZ 그리고 평화를 위한 발걸음 한국전쟁에 대한 설명과 주요 통계 숫자를 통해 한국전쟁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상기하고자 한다. 또한 정전협정이 조인 된 순간을 상상할 수 있는 공간과 2000년부터 지금까지 진 행된 남북정상회담의 주요 영상을 통해 완전한 평화 시대를 기대해 본다. This exhibition hall displays a renovated US Army Quonset hut. Quonset huts were highly adaptable and could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to serve diverse functions, such as an inventory room, toilet and shower room, boiler room, company HQ building, storage room or supply depot. Although Quonset huts can be seen today in Busan Citizens Park and Camp Red Cloud in Yangju, Camp Greaves is the only place in Korea where visitors can still see a Quonset hut preserved with its original form and interior fully intact. Documenta 1 The Korean War and the DMZ Steps towards Peace A brief explanation and key statistics of the Korean War are shown to remind visitors of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Visitors can enter a specially recreated space that allows them to imagine the moment the armistice was signed. Key video footage of all the summit meeting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leaders since 2000 can also be viewed, reflecting hopes that a completely peaceful era may be about to dawn upon us.

50 D M Z 리 서 치 프 로 젝 트 D M Z R es ea rc h P ro je ct 다큐멘타관 2 한국전쟁과 미군의 한반도 주둔 정전 이후 DMZ를 중심으로 주둔한 주한미군의 모습을 당시 영상과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DMZ 복무 중에 순 직한 주한미군을 기념하는 공간에서는 전쟁의 상처를 느끼 며, 그들의 희생을 되새길 수 있다. 다큐멘타관 3 캠프그리브스의 기억과 재생 1953년부터 2004년까지 캠프그리브스 주둔부대의 역사를 사진과 영상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으며, 미군 막사와 휴게실 을 재현한 공간, 캠프그리브스 물품으로 구성한 포토존에서 는 체험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2016-2017년에 진행된 문 화재생사업과 2018년 DMZ 평화정거장 프로젝트의 기록 사 진과 영상은 캠프그리브스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준다. Documenta 2 The Korean War and the Presence of US Forces on the Korean Peninsula Images of US troops in the DMZ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can be seen in old films and photographs. The scars of the war can be felt particularly acutely in the corner dedicated to preserving the memory of the US soldiers who were killed while on duty at the DMZ. This space presents an opportunity to remind ourselves of the sacrifices they made. Documenta 3 Memories & Regeneration of Camp Greaves The history of Camp Greaves from 1953 to 2004 can be explored through films and photographs. Visitors can enjoy the fun of experiencing military life in Camp Greaves in the hall where a military barracks and a recreational center have been recreated and in the photo zone built with artifacts from Camp Greaves. Photos and video footage of the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conducted in 2016-2017 and the DMZ Peace Platform Project in 2018 show the present and future of Camp Greaves.

52 기 획 전 시 관 Pe rm an en t E xh ib it io n 정전 65년 기념 <중립국감독위원회가 본 1950년대 DMZ KOREA>와 DMZ국제다큐영화제의 의미와 역사적 가치를 담 고 있는 <DMZ 다큐시네마> 등의 기획전을 관람할 수 있다. 특히 정전 65년 기념 전시에서는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소장 품과 사진을 비롯하여, 1950년대 북한 관련 사진들과 판문 점의 밤 풍경 등 희소성 있는 전시물을 접할 수 있다. Visitors can see special exhibitions “1950th DMZ KOREA seen through the Eyes of NNSC”, which is held to commemorate 65th anniversary of Armistice Agre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DMZ Documentary Cinema,” which depicts the significance and historic values of the International DMZ Documentary Film Festival. In particular, there will be various scarce exhibits at the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65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including the collections and photos kept by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 photos of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the nighttime scenery of the Panmunjom.

54 Period Every Saturday & Sunday from 2 June - 28 October, 2018 (Closed for Chuseok on 22-23 September) Location Parking Lot in Camp Greaves Performance Team Lady Bounce Moon Jiyoon People in the Backpack Leerang Woori-hana Artsist Cooperative Association Won Taeyun Strange Liguor Bar Choi Sungwook R-funkist 레이디바운스는 'Ladies Make People Bounce'라는 슬로 건으로 도전과 소통, 관객과의 공감을 지향하는 여성 스트리 트 댄스 팀이다. Lady Bounce is a women's street dance team with a slogan called 'Ladies Make People Bounce' that aims to challenge,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the audience. 문지윤은 '열려라 DMZ'라는 작품으로, 첼로 연주를 기반으로 여러 아티스트와 함께 DMZ에 불어오는 평화의 바람을 표현 한다. Moon Jiyoon, in her work titled 'Open up the DMZ,' expresses the winds of peace reaching the DMZ with various artists through a cello performance. 거 리 예 술 공 연 St re et P er fo rm an ce 기간 2018년 6월 2일 - 10월 28일 매주 토요일, 일요일 (추석연휴 9월 22일, 23일 제외) 장소 캠프그리브스 야외주차장 공연팀 레이디바운스 문지윤 배낭속사람들 이랑 우리하나예술협동조합 원태윤 이상한술집 전성훈 최성욱 알펑키스트 레이디바운스 Lady Bounce 문지윤 Moon Jiyoon 놀아보자 in DMZ Let’s Have Fun in the DMZ

우리하나예술협동조합은 남북 문화예술의 향유와 소통을 지 향하는, 북한 예술가 출신의 탈북민으로 구성된 예술가 집단 이다. Woori-hana Artist Cooperative Association is a group of artists composed of defected North Korean artists who aim to enjoy and communicate inter- Korean culture and arts. 배낭속사람들은 인간의 경험과 감정을 함축된 텍스트와 신체를 통한 움직임, 오브제를 통해 은유적인 방식으로 전달 하는 거리극 전문 극단이다. People in the Backpack is a street professional troupe that conveys the human experience and emotions in metaphorical ways such as through implied text and the movements of the body and objet. 원태윤은 불 저글링, 크리스탈 볼 마술, 풍선 마술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관객과 호흡하는 마술사이다. Won Taeyun is a magician who harmonizes with the audience, offering a spectacle of various acts such as fire juggling, crystal ball magic, and balloon magic. 이랑은 오보에, 해금, 가야금 등 동양과 서양의 악기 연주자 로 구성된 퓨전국악팀이다. Leerang is a fusion Korean music team composed of musicians trained in oriental and western instruments such as the oboe, haegeum, and gayageum. 우리하나예술협동조합 Woori-hana Artist Cooperative Association배낭속사람들 People in the Backpack 원태윤 Won Taeyun이랑 Leerang

이상한술집은 자작곡과 편곡한 팝송 및 대중가요를 통해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인디 팝밴드이다. Strange Liquor Bar is an indie pop band familiar to the public through its own compositions and pop song arrangements. 전성훈은 세계마술협회 IBM 정회원으로, 연간 300회 이상 의 공연을 자랑하는 베테랑 마술사이다. Jeon Sunghoon is a veteran magician who is a regular member of the International Brotherhood of Magicians (IBM) and boasts more than 300 performances a year. 이상한술집 Strange Liquor Bar 전성훈 Jeon Sunghoon 최성욱은 색소폰을 기본으로 오카리나 등 다양한 악기를 연 주하는 뮤지션으로, 대중음악과 OST를 퓨전 재즈 풍으로 편 곡한 곡을 연주한다. Choi Sungwook is a musician with a saxophone background who plays various instruments such as ocarina and performs arrangements of popular music and OST in a fusion jazz style. 알펑키스트는 순수예술과 상업공연을 넘나드는 퍼포먼스로 다채로운 공연을 기획하는 스트리트 댄스 팀이다. R-funkist is a street dance team that holds various performances which transcend both beaux arts and commercial performances due to their exceptional planning and performing abilities. 최성욱 Choi Sungwook 알펑키스트 R-funkist

60 D M Z 평 화 페 스 티 벌 D M Z P ea ce F es ti va l 기간 2018년 10월 27일 - 10월 28일 장소 캠프그리브스 공연 DMZ 탈바꿈 콘서트 DMZ사운드스케이프 남북한 탈춤 평화 퍼포먼스 탈춤 연희 모자이크코리아 두번째달 with 소리꾼 이봉근 텔레마틱콘서트 DMZ 어울림 콘서트 서울자유발도르프학교 오케스트라 레이디바운스 드래곤 사운드 우리하나예술협동조합 아티스트 워크숍 생태누리낙원에서 깨어난 비무(飛茂) Universal Peace Project 체험 프로그램 나만의 평화기원 손거울 만들기 조각보 잇고 엮기 태양의 후예 군복 + 크로마키 체험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경기도 주관 한국관광공사 경기관광공사 DMZ 탈바꿈 평화한마당 Period 27-28 October, 2018 Location Camp Greaves Concert “Transformation of the DMZ” Talbakkum Concert DMZ Soundscape North & South Korea Talchum Talchum MosaiKOREA 2nd MOON with Lee Bonggeun, traditional singer Live Performance via the Internet “Harmony in the DMZ” Eoullim Concert Seoul Free Waldorf School Orchestra Lady Bounce Dragon Sound Woori-hana Artist Cooperative Association Artist Workshop Bimu wakes up in an Ecological Paradise Universal Peace Project Experience Program Make your own Wish-For-Peace Handheld Mirror Patchwork Joining and Plaiting ‘Descendants of the Sun’ Military Uniform & Chroma-key Superviso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Gyeonggi Province Organizer Korea Tourism Organization Gyeonggi Tourism Organization “Transformation of the DMZ” Talbakkum Peace Forum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