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화면 점점 크게
화면 점점 작게
화면 초기화
정보공개
공공데이터
전자메일 : 일반/공무원
DMZ비무장지대
검색버튼
통합검색
주메뉴
닫힘
DMZ
공간으로 보는 DMZ
시간으로 보는 DMZ
DMZ의 자연 환경
DMZ의 인문 환경
익사이팅 DMZ
주요관광명소
주요관광명소
- 판문점
- 도라산역
- 승전전망대
- 제3땅굴/도라산역/도라전망대/통일촌
- 통일촌 직판장
캠프그리브스
평화 누리길
DMZ 자전거투어
경기도 DMZ
새소식
언론보도
DMZ포럼
자주하는 질문
DMZ 아카이브
갤러리
동영상
자료실
DMZ BI
모바일버튼
통합 검색
Home
>
DMZ 관광
>
DMZ관광지
facebook
twitter
google
DMZ관광지
DMZ관광
주요관광명소
- 주요관광명소
- 관람 전 유의사항
- DMZ관광지
추천코스
평화 누리길
DMZ 자전거투어
캠프그리브스
자유의 다리
설명
자유의 다리는 문산읍 마정리 임진각 광장 앞 망배단 뒷편에 놓인 다리로 1953년에 한국전쟁 포로 12,773 명이 자유를 찾아 귀환하였기 때문에 명명된 다리이다.
원래 경의선(京義線) 철교는 상하행 2개의 교량이 있었으나 폭격으로 파괴되어 교각(橋脚)만 남아 있었는 데전쟁 포로들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서쪽 교각 위에 철교를 복구했고 그 남쪽 끝에 임시 교량을 가설했다.
당시에는 포로들이 차량으로 경의선 철교까지 와서 걸어서 자유의 다리를 건너왔다고 한다.
자유의 다리는 6경간(徑間)으로 이루어진 목조 평교(平橋)형식으로 길이는 83m, 폭은 4.5∼7m, 높이는 8m 내외이다.
순수한 목구조는 아니고 인장력을 많이 받는 부분에 철재를 병용하여 만든 혼합 구조이다. 통나무가 4개씩 4열로 세워진 교각 위에 사각 받침목과 Ⅰ형 강(鋼)으로 만든 철제 보가 井자형으로 짜올 려지고 그 위에 장선(長線)이 놓인 후 나무로 만든 상판이 올려져 마감되었다.
구조적인 안정을 기하기 위하여 수평재와 가새가 많이 사용되었다.
자유의 다리는 임시로 가설한 교량이므로 건축적으로 뛰어난 점은 없으나 `자유로의 귀환`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전쟁의 대표적인 유산이라 할 수 있다.
- 소유자 : 국가
- 지정번호 : 기념물 제162호
- 지정일 : 1982년 11월 04일
- 시대 : 1953년
관람신청안내
제목
내용
관람신청/안내
031-953-4744(임진각관광안내소)
교통편
대중교통
- 불광동터미널 909(좌석), 서울역 9710(광역) → 문산터미널 하차 → 3번 버스 이용 → 임진각 관광지 하차